Network/Network basic

RIP (Routing Information Protocol, RIP 명령어 사용 방법.)

상열몬 2019. 11. 12. 16:47

-거리 벡터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개발된 라우팅 프로토콜

-IGP (Interior Gateway Protocol)

-오로지 Hop Count로만 판단.

-최대 거리 Hop15 (16은 무한대로) 제한.

 

RIP 는 version 이 1,2 가 있습니다.

 

 

Classful Routing Protocol :

RIPv1 의 경우 Classful ip 주소 체계를 사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이며,

Classful Routing Protocol 은 자신의 라우팅 동작중에 서브넷 마스크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,

자동으로 Classful Mask를 배정 합니다.

 

Classless Routing Protocol :

RIPv2 의 경우 Classless 주소 체계를 따라가게 됩니다.

Classless의 경우 관리자가 서브넷마스크를 임의로 지정하여 사용 할 수 있습니다.

예를 들어 1.1.1.0은 classful의 경우 자동으로 서브넷 마스크를 기입하지만,

Ripv2를 사용할 경우 255.255.255.0 처럼 서브넷마스크를 줄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Classless 가 나온 이유는 Classful 도 ipv4 주소 낭비를 막고 효율적으로 주기 위해 나온 주소 체계지만, 이것을 더 효율적으로 나누어 줄려고 나온 주소체계가 Classless 입니다.

 

그럼 이제 Ripv2 를 사용하여 봅시다.

 

먼저 라우터의 config 모드에서 router rip 명령어를 입력 합니다.

 

Classless 를 사용하기 위해 version 2 를 입력하여 줍니다.

 

No auto-summary 해주는 이유는 version 2로 바꾸어도
동작방식이 Classful 로 되어 있기 때문에 Classless로 바꾸어 주기
위해 위 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합니다.

 

그 다음 라우터 포트에 입력된 ip 를 입력하여 주시면 됩니다. 예를 들어 하나의 라우터에 

1.1.1.1

1.1.2.1

1.1.3.1

 

이 있다고 가정하면,

 

이렇게 설정하고 다른 라우터도 똑같이 설정하면, RIPv2 로 인하여, 서로 통신이 됩니다.